분류 전체보기22 전기기사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출제 빈도 No.1 전달함수 전기기사 과목 중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영역에서 출제 빈도가 가장 많은 전달함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달함수의 유형을 푸는 방법은 변환 식만 외우면 모든 문제를 맞출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달함수가 무엇이길래 외우라고 하냐면... 메쉬 해석이나 노드 해석으로 해석할 수 없는 영역을 연구자나 교수들, 그리고 학생들이 해석할 수 있는 영역으로 바꿔서 수학적으로 계산을 하고 다시 해석할 수 없는 영역으로 되돌리는 이론이 전달함수 입니다. 쉽게 말해서 4차원에 있는 무언가를 3차원으로 해석한다음 4차원으로 다시 보낸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그래서! 전기기사를 준비할 때 전달함수는 이해하지 마시고 변환 식을 외워서 기출 문제에 응용하시면 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로 읽어 보시면 됩니다. (이해할 필.. 2024. 1. 22. 전기기사에서 메쉬 해석과 노드 해석에 대한 이해 전기기사 과목 중 회로이론을 가장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메쉬 해석과 노드 해석에 대한 이해가 꼭 필요합니다. 전기공학과 2학년 학생이라면 1학기 내내 회로이론 시간에서 배우고 시험을 보는 중요한 이론입니다. 그러나, 난이도는 대학교재의 기초문제에 해당되는 정도고 연습의 양으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유형이기도 합니다. 꼭 기출문제를 통해서 연습해 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메쉬 해석 (Mesh Analysis) 메쉬 해석의 기본 원리와 단계 메쉬 정의 회로를 닫힌 경로인 메쉬로 나누어 각 독립적인 루프를 형성합니다. 메쉬 전류 정의 각 메쉬에 전류 변수를 할당하며, 이 전류는 메쉬 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설정됩니다. KVL 적용 (키르히호프 전압 법칙) 각 메쉬에 대해 KVL을 적용하여 전압.. 2024. 1. 22. 전기기사에서 RC, RL, RLC 회로의 특징과 용도 전기기사에서 RC, RL, RLC 회로에 대한 시험문제가 출제가 되는데요, 특징과 용도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대학교 3학년때 배우는 전자회로 시간에 복잡한 이론들로 많이 힘들었던 경험이 있는데 기출문제에서 만큼은 가장 기본적인 것들을 물어보니 겁내지 말고 천천히 준비하시면 관련 문제는 무조건 점수를 얻어 갈수 있는 유형입니다. 아래 내용은 간단히 참고 하시기를 바랍니다. RC 회로 1. 저항(Resistor) 전기 저항을 제공하는 구성 요소로, 전류의 흐름을 제한합니다. 회로에 안정성을 부여하고 전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2. 콘덴서(Capacitor) 전하를 저장하는 장치로, 급격한 전압 변화를 완화하고 일정 시간 동안 전하를 누적합니다.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며, 전기적.. 2024. 1. 22. 전기기사에서 직렬회로와 병렬회로 전기기사 직렬 회로와 병렬회로 문제유형에서 알아야 할 두가지입니다. 직렬 회로의 핵심은 저항의 덧셈입니다. 병렬 회로의 핵심은 전류의 덧셈입니다. 직렬 회로는 전기회로에서 구성 요소들이 한 경로를 따라 연결된 형태를 나타냅니다. 이 경로에서 전류는 각 구성 요소를 순차적으로 통과합니다. 직렬 회로에서의 주요 특징과 개념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직력 회로 구성 요소 직렬 회로에서는 전기기기나 전자 부품들이 하나의 경로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각 구성 요소는 다음 구성 요소와 직렬로 연결되어 전체 회로가 하나의 연결된 루프를 형성합니다. 전류의 특성 직렬 회로에서는 전류가 모든 구성 요소를 통과하며 동일한 값입니다. 즉, 회로 전체에서 전류는 일정합니다. 전압의 분할 직렬 회로에서는 전압이 각 구성 요소에 .. 2024. 1. 20.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