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기사 알아보기

전기기사 준비 5개월 만에 합격 후기

by 조_뚱 2024. 1. 19.

전기 기사 자격증을 필기 1개월, 실기 4개월 준비로

2017년 2회차 전기기사 실기 합격으로 자격증을 취득했습니다.

 

 

전기 기사 필기 시험 준비 및 합격 후기

필기 시험은 2017년도 1회차 시험에 평균 90점대로 통과했습니다. 필기 시험 대부분의 기출은 대학교 2학년, 3학년 때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들 중 기초문제 수준에 해당하는 것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2주 정도 준비해서 시험을 봤었고, 합격했던 다른 친구들을 보면 2~3일 준비해서 합격할 정도의 수준이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기 기사 실기 시험 준비 및 합격 후기

실기 시험은 2017년도 1회차때는 떨어졌고, 2017년도 2회차때 합격했습니다. 점수는 62점이였던것으로 기억합니다..

공부량은 1회차때 기출 10년치 약 30회분 전체를 외우고 시험 봐서 52점이였고, 2회차때는 기출 20년치 약 60회분을 몽땅 외우고 시험을 보고 62점이였습니다..

당시 필자가 대학교 4학년을 다니고 있어서 공부 시간을 최대로 늘릴 수 있는 여건이 되었고, 2017년도 1회 차 필기 합격 후, 1차 실기 볼 한달 간과 2회차 실기까지의 기간 3개월을 포함하여 총 4개월 동안 실시공부를 해서 겨우 합격점에 도달할 수 있었습니다..

 

전기기사 공부 방법

공부는 계획을 세워서 1회분을 매일 꾸준히 머릿속에 외우고 답안지를 공책에 쓰면서 반복했고, 이전에 외웠던 것들도 매일 복습을 했더니, 시험보기 이틀 전에는 60회분의 기출문제 답안지를 을,를과 같은 조사도 틀리지 않게 모범 답안을 외웠을 정도였습니다..

기출 문제는 시중에 팔고 있는 전기기사 실기 과년도 문제를 사서 외웠고, 1996년도~1997년도 부터 외웠다고 보시면 됩니다. 과년도 문제를 10년치에서 20년치로 늘리게 된 계기는 1회차 실기에 90년대에 나왔던 기출이 출제가 되어 외우는 양을 늘리게 되었고 완벽히 외운 것은 아니지만 90년대 초반도 눈으로 훑어 가면서 새로운 기출은 머리에 담아두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전기 기사 합격 후, 약 7년이 지난 지금...

전기 기사 합격 후, 약 7년이 지난 지금 전기 엔지니어로서 일하면서 돌이켜 보면 4개월동안 조사하나 틀리지 않고 외웠던 모든 것들이 업무처리에 크게 도움이 되거나 의미 있는 일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단지 시험에 합격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이었을 뿐이고, 다시 대학생으로 돌아가 기사 시험을 본다면 똑같은 방법과 수단으로 20년치의 기출을 외우고 시험을 볼 예정입니다..

왜냐하면 전기 기사 실기의 경우는 실제로 전기실이나 전기 판넬에서 적용가능한 이론들이 많으나 대학생 입장에서 볼 수 있는 내용은 한정적입니다. 예를 들면, 변압기 보호 장치에 부흐홀쯔 계전기 또는 충격 압력 계전기 등등은 실제로 변압기를 보고 위치가 어디에 붙어있는지 왜 설치했는지 원리가 무엇인지의 호기심과 관심으로 접근하면 필자가 했던 방식의 무식하게 외우는 방식으로는 비교도 안 될 정도의 지식과 기술을 체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억에도 오래 남아 있을 수 있고 누군가에게 설명한다면 더 이해하기 쉽게 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전기기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직장을 다니면서 전기공사기사도 취득하여 그 동안 공부했던 내용과 실제 전기 옌지니어가 전기 현장에서 보고 듣고 고민했던 내용을 블로그에 업로드 할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