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기사 알아보기

전기 기사 질의 응답 Best 5

by 조_뚱 2024. 1. 19.

전기 기사를 준비하는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질의 응답 Best 5 알아봅시다.

1.  전기기사 난이도

전기기사는 어려운 시험에 속합니다.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의 합격률이 20% 내외이며 매년 난이도가 동일하지 않아 준비하는 기간이 사람마다 편차가 많습니다. 그러나 꾸준히 준비한다면 결코 해내지 못할 자격증은 절대 아닙니다.

 

2. 전기기사 VS 전기산업기사 둘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가?

전기기사 필기 시험은 전기산업기사와 비교했을 때는 공부내용은 거의 비슷하나 문제의 유형 난이도가 다소 높은 편입니다. 그러나 필기 시험 자체가 문제은행식으로 출제되기 때문에 응시 자격만 갖추고 있다면 전기기사를 준비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3. 전기기사 공부 전략

전기기사 실기 시험은 책만 보고 공부하기엔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머릿속에서 전기 설비에 대한 이미지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직접 현장일을 경험하지 않은 분은 기출 문제를 무식하게 외우는 방법으로 공부 전략을 준비하셔야 합니다. 필자의 경우는 20년동안 출제된 기출 문제를 몽땅 외워서 62점으로 합격했습니다.

 

전기기사 필기 과목별 전략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전기기사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은 내용이 다소 쉬운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을 먼저 공부하여 회로에 대한 기초 지식과 기초 전기 수학을 활용하여 기출문제풀이를 진행합니다. 내용이 어려운 문제는 최대한 이해하기 위해 인강이나 구글링을 통해 천천히 이해하며 푸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은 비교적 쉬운 과목인 만큼 고득점을 목표로 공부를 하시기를 권장 드립니다.

 

전기기사 필기 과목별 전략 (전력공학)

전력공학의 경우 전기 실기 시험과 가장 연계율이 높기도 하고, 실제 전기 기사 자격증을 직장에서 빛낼 수 있는 지식들을 습득하는 중요한 과목입니다. 수배전설비를 유튜브 영상을 통해 접하고 어떻게 구성이 되어있고 그 설비가 왜 있을까라고 궁금증을 가진다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최대한 고득점을 위하여 기출 문제를 먼저 파악하고 중요한 내용이 무엇인지 아는 것도 중요한 전략입니다.

 

전기기사 필기 과목별 전략 (전기자기학)

전기자기학의 경우 이론적으로 파고든 대학생들에겐 쉽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은 처음부터 이해하기 쉽지 않습니다. 미적분학에 대한 수학적인 지식이 요구되는 만큼 접근하기 쉽지 않으나, 필기 시험의 경우 기출 문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서 문제 푸는 방식을 외운다면 고득점도 노려볼 수 있습니다. 기초가 부족하신 분들은 과목별로 구매가능한 인강을 참고하셔도 좋은 방법입니다.

 

전기기사 필기 과목별 전략 (전기기기)

전기기기의 경우 과락 점수인 40점을 넘지 못하는 수험생이 많습니다. 대학생들도 쉽게 접하지 못하는 생소한 단어들과 각 기기별 외워야 하는 범위가 높아 처음부터 끝까지 다 공부한다고 생각하면 막막함이 앞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기기기도 마찬가지로 기출문제부터 파악하고 공부 목표를 60점으로 한다면 문제없이 통과할 것입니다.

 

전기기사 필기 과목별 전략 (전기 설비기술 및 판단기준)

전기 설비기술 및 판단 기준은 암기 과목입니다. 외우는데 자신 있는 분들은 이 과목에서 고득점을 목표로 준비하셔도 됩니다. 처음부터 모든 것을 다 외운다고 하면 포기하는 사람들이 훨씬 많을 겁니다. 숫자도 비슷한 게 많고 머릿속이 점점 복잡해지는 나 자신을 보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기출문제를 먼저 외우고 보면 어느 순간 모든 법적판단기준이 머릿속에 들어오게 될 것입니다. 과년도 기출문제를 모두 외우면 중요한 것들이 눈에 띄기 때문에 암기하는데 수월할 것입니다.

4. 전기기사 응시 자격

1. 학점은행제를 통해 106학점 이수

2. 기능사(타 유사 자격증 포함) 자격증을 획득한 후, 전기 관련 경력 3년을 인정받는 경우

3. 산업기사(타 유사 자격증 포함) 자격증을 획득한 후, 전기 관련 경력 1년을 인정받는 경우

4. 전기 관련 실무경력 4년을 인정받는 경우

5. 2년제 전기 관련 학과 졸업한 후, 전기경력 2년을 인정받는 경우

6. 3년제 관련 학과 졸업한 후, 전기 관련 경력 1년을 인정받는 경우

7. 4년제 전기 관련 학과 졸업(예정) 자

 

5. 산업기사 응시자격

1. 학점은행제 41학점 이수

2. 기능사 자격증을 획득한 후, 전기 관련 경력 1년을 인정받는 경우

3. 전기 관련 실무경력 2년을 인정받는 경우

4. 전기 관련 학과 2년제를 졸업한 후, 3 년제 졸업(예정) 자

5. 전기 관련 학과 4년제 대학 2학년 2학기 이상 수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