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기사 알아보기

전기기사를 비전공자가 선택할 때 준비 및 전망

by 조_뚱 2024. 1. 19.

비전공자가 전기기사를 준비는 마음가짐과 전망에 대하여 필자의 생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비전공자의 전기기사 준비

비전공자가 전기기사를 준비만 잘하고 시간과 노력이 들어간다면 무조건 얻을 수 있고, 생각한 것보다 쉽게 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기사자격증은 고시 시험이나 변호사 시험이 아닙니다. 전기에 대해 상세하고 세세하게 공부하면 대학교 4학년도 모자를 수 있으나 전기기사 시험은 절대 모든 것을 알고 보는 시험이 아닙니다. 전기기사를 도전해보겠다고 생각이 들었다면 우선 시도해 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기사시험의 경우 합격점인 평균 60점 이상이면 통과되는 시험이고 과년도 기출문제만 잘 파악한다면 6개월안에 획득할 수 있다고 장담할 수 있습니다. 물론 회사를 다니고 있거나, 육아를 하고 있거나 공부할 시간이 넉넉하지 못한 분들은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으나 자격증은 획득할 수 있습니다. 요즘 인강도 여러 사이트를 비교해서 나에게 맞는 커리큘럼으로 구성할 수 있는 만큼 진입장벽도 더더욱 낮아지고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비전공자가 명심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전기공학과를 졸업한 대학생이라고 해도 70명중에 10명 내외로 가지고 있는 자격증인 만큼 전공자들도 어렵게 느끼는 시험입니다. 특히 실기시험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무경험이 없는 전기 전공자들도 아무것도 모르기 때문에 비전공자와 똑같은 입장에서 공부하므로 경쟁력이 있습니다. 과년도 기출문제로 잘 준비하면 분명 합격하실 겁니다.

2. 비전공자의 전기기사 전망

전기기사가 전망이 좋은 이유는 법적인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기안전관리법에 의해 전기안전관리자와 전기안전관리보조원을 정해진 조건하에 선임을 꼭 해야 합니다. 전기안전관리법에 의하여 전기 설비 용량 조건이 된다는 것은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회사나 아파트 관리직, 또는 공무원 등 다방면으로 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입원이 될 수 있는 자격증인 것은 확실합니다.

규모가 큰 회사(대기업 or 중견기업)의 경우에는 취직이 다소 어려울 수는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회사에서는 10년 후, 또는 20년 후를 생각해서 인원을 보충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려할 수밖에 없습니다. 전공자를 우선적으로 보는 이유는 이 분야에 대해서 관심이 있었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대학 4년 동안 전기에 대해 듣고 싶지 않았던 것들도 우연히 접하게 되고 어쩌다 경험해보고 생각해보고 느꼈던 것들의 가치를 인정해 주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그렇다면 비전공자가 규모가 큰 회사에 취직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전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이것저것 궁금해하고 찾아보고 어떻게 해보든 실무 경험을 하려고 해야 면접에서도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이 이러한 과정 없이 비전공자가 전기 자격증을 소지한 채 취직을 준비하기 때문에 전공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더구나 회사의 면접관들은 경력이 많은 분들이기 때문에 전기 관련 관심도를 한 눈에 알아보기 쉬운 실정입니다. 그러므로 전기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정보를 찾아본다면 지식의 바다에 사는 현대인들은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을 겁니다. 

 

모두들 힘내시고 전기기사 자격증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의 권투를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