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기사 알아보기

전기기사 학습 전략과 필기 과목별 특징(+공부 방법, 과목별 출제 빈도)

by 조_뚱 2024. 1. 29.

전기기사 필기 시험에는 총 5개의 과목이 있으며, 전기자기학, 전력공학, 전기기기,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전기설비기술기준이 해당됩니다.

전기기사 필기 학습전략과 각 과목 특징, 공부방법, 출제 빈도에 대해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전기기사 필기 학습전략

  • 전기기사 필기 시험은 평균 60점이 넘으면 합격하는 시험입니다.
  • 절대 100점을 위한 시험이 아닙니다.
  • 필기 과목 내의 모든 내용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 어려운 이론과 수식에 당황하지 말고 이해하지 마세요.
  • 항상 기본에 충실하다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습니다.
  • 전기기사는 결국 암기가 필수입니다.
  • 전기기사와 같은 자격증 시험은 무조건 기출 문제로 연습해야 합니다.
  • 이 글을 보시는 모두들 전기기사 합격을 기원합니다.

 

지금부터 전기기사 필기 과목별 특징과 학습 전략, 공부 방법, 과목별 출제 빈도를 포스팅하겠습니다.

 

전기자기학

전기자기학 과목 특징
  • 산업현장에서 깊고 넓게 이해하기 위한 과목
  • 전기자기학은 수험생이 느끼는 가장 어려운 과목으로, 전기학+자기학으로 구성됩니다.
  • 전기학은 전하로부터 발생되는 전계와 전위, 정전용량으로 구성됩니다.
  • 자기학은 전류의 자기현상과 인덕턴스로 구성됩니다.
  • 전기학과 자기학은 마치 쌍둥이처럼 이론이나 공식이 대응됩니다.

 

전기자기학 공부 방법
  • 증명이나 수학적 개념이 없어도 기출문제 분석으로 충분히 합격할 수 있습니다.
  • 어려운 이론이나 증명은 2문제 이하로 출제됩니다. (어려우면 패스)
  • 공식 암기 후 단순 순자 대입 5~6문제. (기본에 충실할 것)
  • 앙페르의 법칙을 예를 들어, 중요 요점이나 공식을 찾는 문제가 10문제. (암기!)

 

전기자기학 출제 빈도
  1. 진공 중의 정전계
  2. 자성체와 자기회로
  3. 유전체
  4. 전류의 자기현상
  5. 전자계

 

전력공학

전력공학 과목 특징
  • 전력공학은 송배전공학 + 발전공학으로 구성됩니다.
  • 실무현장에서 바로 적용가능한 학문이므로 매우 중요한 과목입니다.
  • 발전기에 의한 전기의 생성, 전력케이블에 의한 수송, 변압기에 의한 변전, 배전, 수전까지의 학습
  • 내용은 광범위하게 느낄 수 있으나, 고득점을 얻을 수 있는 과목 중에 하나입니다.
  • 2차 실기시험 범위에 100% 해당되므로 이론적인 내용을 정리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전력공학 공부 방법
  • 공부 시간이 부족하다면 모든 범위를 외우기 보다는 출제 빈도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그래도 부족하다면 기출 문제로 연습하면서 이론을 정립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암기해서 푸는 문제가 15문제 정도로 출제되므로 암기는 필수입니다.
  • 계산문제는 총 5문제 정도 나오고 3문제 정도는 쉽게 해결할 수 있으므로 3문제는 풀 수 있는 정도로 연습하시길 바랍니다.

 

전력공학 출제 빈도
  1. 송전선로 보호방식
  2. 배전선로 계산
  3. 발전
  4. 이상전압 및 방호대책
  5. 송전특성 및 조상설비

 

전기기기

전기기기 과목 특징
  • 발전기, 전동기(모터), 변압기, 전력변환장치에 대해 학습합니다.
  • 우리가 흔하게 접할 수 있는 것들이나 의외로 어려운 과목 중에 하나입니다.
  • 전기기기 또한 전기기사 실기에서 출제되므로, 이론을 되도록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기기기 공부 방법
  • 전체적으로 시험 범위내에서 고르게 문제가 형성됩니다.
  • 변압기와 유도기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므로 직류기, 동기기, 변압기, 유도기, 정류기 등을 꼼꼼히 알아 둡니다.
  • 암기해서 푸는 단순 암기 문제가 13~17문제 정도 출제되므로, 이 과목 또한 암기 과목입니다.
  • 계산기를 사용하는 계산 문제가 3~7문제 정도 출제됩니다.

 

전기기기 출제 빈도
  1. 변압기
  2. 유도기
  3. 동기 발전기
  4. 직류기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과목 특징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은 전기 기사 모든 과목의 기초가 되는 학문입니다.
  • 회로이론은 계통이나 회로에 흐르는 전류와 전력을 알기 위한 학문이라고 보면 됩니다.
  • 그러므로 회로의 R, L, C의 상호 관계와 단상 및 3상 교류의 특징을 이해하고 여러가지 이론을 접목하여 회로를 해석하게 됩니다.
  • 제어 공학은 실무에서 극소 부분의 이론만 적용 가능합니다.
  • 기출 문제 위주로 유형을 분석하길 권장 드리며,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유형을 학습하시길 바랍니다.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공부 방법
  • 회로이론과 제어공학 각각 10문제씩 출제됩니다.
  • 단순한 공식 찾기 또는 공식에 숫자 대입하기 정도의 문제가 주로 출제되므로 시험을 합격하기 위한 공부는 그리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 각 단원 별로 중요한 공식은 정리하여 자주 보고 머리 속에 암기하고 있어야 합니다.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출제 빈도
  1. 전달함수
  2. 단상 교류 회로의 이해
  3. 상태방정식
  4. 안정도 판별법
  5. 시간 영역 해석법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 과목 특징
  • 전기설비기술기준은 ‘한국전기설비규정(KEC)’가 개정이 될 수 있으니, 가장 최신의 교재를 구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설비 규정은 설비의 보호와 인체의 보호를 위한 학문이므로 추후 실무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학문입니다.
  • 전력공학과 함께 고득점을 노릴 수 있는 과목입니다.
  • 실기시험에도 출제되므로 기출 문제 위주로 정리하다 보면 중요한 부분이 어떤 것인지 체득할 수 있습니다.
전기설비기술기준 공부 방법
  • 설비 규정이 왜 만들어졌을까 상상해보면서 외우면 헷갈리지 않습니다.
  • 설비 규정이 무엇을 의미할까라고 생각해보면서 정리하면 큰 맥락이 보일 것입니다.
전기설비기술기준 출제 빈도
  1. 고압 및 특고압 전기설비
  2. 저압 전기설비
  3. 전기설비기술 공통사항
  4. 전기철도설비

 

전기기사를 합격하기 위해서는 요령이나 편법은 없습니다. 전기기사도 공부와 마찬가지이므로 천천히 꼼꼼히 이론을 정리하고 실무 현장에서 적용할 것을 상상하며 준비하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