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기사 알아보기

전기기사 실기 공부법 (+합격후기, 공부 팁, 출제 빈도)

by 조_뚱 2024. 1. 30.

전기기사 실기에 대해서 합격후기와 공부법, 공부 팁, 출제 빈도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전기기사 실기 합격후기

전기기사 실기는 건축물을 설계부터 시작해서 시공을 하고, 준공까지 이르는 모든 과정의 전기 공사 작업 시 전기 담당자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필자는 실무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실기 시험을 준비했기 때문에 20년 동안 치러진 기출문제를 통째로 외운다는 마음으로 공부를 했고, 합격률이 높은 편의 시험이었는데도 불구하고 60점 중반 커트라인을 겨우 넘어 합격을 할 수 있었습니다.

 

전기기사를 기반으로 외국계 회사에 취직하여 운이 좋게도 공장을 추가로 짓는 발주처로서 경험을 쌓게 되었습니다. 전기 설계 업무, 감리 업무, 시공 업무, 시공 후 관리 업무까지 두루 경험을 하면서 느낀 점은 전기는 책상에 앉아서 배운 것보다는 역시 실무에 접하면서 배우는 것이 더 머릿속에 남아 있고 오래간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전기 기사는 실무 경험이 있든, 없든 필수로 있어야 하는 자격증입니다.

 

포기하지 마시고 끝까지 도전한다면 자격증을 획득하실 수 있고, 산업 현장에서도 꼭 쓸모 있는 인재가 될 것입니다.

 

전기기사 실기 합격을 위한 공부 법  or  공부 팁

 (전기 실무를 접해보지 못한 분)

  • 무조건 외우셔야 합니다.
  • 편법이 따로 없습니다.
  • 필자 또한 대학교 전기공학과를 나왔으나,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외우기만 했습니다.
  • 2017년도 1회차 시험 때는 2006년도 1회 차부터 2016년도 3회 차까지 모범 답안의 모든 조사(을, 를)까지 모두 외웠습니다.
  • 2017년도 2회차 시험 때는 1990년도 1회 차부터 2016년도 3회 차까지 완벽하게 외우고 60점 중반 커트라인을 넘기면서 합격하게 되었습니다.

(전기 실무가 있는 분)

  • 제 주변에 정년 퇴직 만 60세를 앞두고 전기 기사를 1년간 준비해서 합격하신 분이 있습니다.
  • 전기 실무는 설계 20년 시공 10년 경력이 있었고, 공부시간은 매일 2시간 정도입니다.
  • 기출 문제 암기량은 10년 치 기출문제였고, 대부분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이라고 하셨습니다.

 

이처럼 전기 실무 경력이 30년된 분들이 자격증을 준비하는 것은 드문 경우 일 겁니다.

 

비전공자라고 하더라도 대학교 전기공학과 나온 학생들도 기출문제를 보면 생소하기 때문에 암기만 잘하면 경쟁력이 있습니다.

 

전기기사 실기 파트별 출제 빈도

  • 1장  수 변전 설비 기기 (4문제 정도 / 20% 비율) [출제 비중이 가장 높음]
  • 2장  보호 계전 설비 (1문제 정도 / 5% 비율) [이 파트는 전원설비의 이해를 도움]
  • 3장  전원설비 (3문제 정도 / 20% 비율) [수 변전 설비의 배점이 높기 때문에 꼭 이해 필요]
  • 4장  간선 및 배선 설계 (2문제 정도 / 15% 비율) [출제 비중이 높음]
  • 5장  부하설비 (1문제 정도 / 5% 비율) [조명설계-전등 수 산출과 같은 문제 집중 학습 필요]
  • 6장  피로 및 접지설비 (1문제 정도 / 5% 비율) [KEC 추가 내용 꼭 확인할 것! 시험 출제]
  • 7장  전력 품질 (2% 비율) [고조파 발생원인, 저감대책 준비]
  • 8장  전기안전설비 (3% 비율) [KEC 변경 사항 꼭 확인! 변경되는 것들이 시험 출제]
  • 9장  자동제어운용 (2문제 정도 / 10%) [반드시 맞추고 가야 할 파트]
  • 10장 감리업무 (1문제 정도 / 5%비율) [기출문제 정리]
  • 11장 송배전설비 (2문제 정도 / 10%) [필기 과목 중 전력공학 요점 정리 확인]